티스토리 뷰
목차
연말정산 미리보기는 국세청에서 11월 15일부터 제공하는 서비스로 2025년 1월에 진행될 연말정산을 미리 진행해 봄으로써 지출, 저축 상황 점검하고 남은 기간 안에 절세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아래에서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과 절세팁 확인방법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이용 방법
연말정산 미리보기는 아래의 3단계로 진행되는 서비스입니다.
- 신용카.드 소득공제액계산
- 연말정산 예상 세액 계산
- 맞춤형 절세 팁 제공
✅ 우선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하거나 국세청앱인 손택스를 깔고 들어갑니다.
✅ 로그인 > 공동/금융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 장려금/연말정산 전자기부금 메뉴 클릭
✅ 편리한 연말정산 > (근로자용) 연말정산 미리 보기
Step 1 신용카.드 소득공제액계산
✅ 좌측하단에 Step 01, 02, 03 중 Step 01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하기 클릭
✅ 2023년 지급명세서 '불러오기'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작년 급여액이 아래에 기재됩니다.
✅ 올해 기간이 아직 정산완료되지 않았으므로 근무기간 및 총급여액을 올해에 실제 기간, 급여액으로 수정하고 적용을 누릅니다.
✅ 신용카.드자료 불러오기를 누릅니다.
✅ 1월 ~ 9월까지의 사용액은 실제 사용금액이 표시됩니다.
✅ 부양가족 자료제공 동의 신청을 한 경우에는 부양가족의 신용카.드자료도 불러올 수 있습니다.
✅ 10월 ~ 12월의 사용 예상금액을 직접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누릅니다.
✅ 아랫부분에 한도미달액에 해당하는 금액이 추가공제를 더 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이를 통해 절세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추가로 쓸 예정인 금액을 이것저것 입력해 보고 얼마가 세액공제될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완료되었으면 저장을 누르고 Step2 가기를 누릅니다.
Step 2 연말정산 예상 세액 계산
✅ 다음 화면에서 급여 및 예상세액이 나타나는데 작년의 내용이 반영된 것입니다. 이를 올해 내용으로 수정해 주면 됩니다. 총 급여/기납부세액 수정을 누릅니다.
✅ 팝업창이 뜨면 총 급여와 원천징수 세액을 올해 기준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월급명세서를 통해 매월 월급과 월급에서 낸 세금을 12월까지 예상하여 합계액을 입력하면 됩니다.
✅ 다음 부양가족항목을 수정합니다. 작년 기준으로 입력된 것에서 올해 기준으로 수정해 주면 됩니다. 인적공제 옆의 수정을 누르면 팝업창이 뜹니다. 추가공제설명 펼치기를 누르면 입력방법을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변화된 사항을 입력하고 저장을 누르시면 됩니다.
✅ 다음 각종 소득세액공제(교육비, 의료비, 연금, 기부금 등)를 수정하고 최종 얼마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미리 보기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절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것저것 수정을 눌러 팝업창이 뜨면 추가로 입력, 적용하고 계산하기를 누르면 얼마가 추가로 세액공제 되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tep 3 맞춤형 절세 팁 제공
✅ 마지막 Step3 가기를 누릅니다. 연도별 나의 연말정산 자료가 요약된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자료들이 그래프로도 나와있어 나의 연말정산 연도별 추세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그리고 각 교육비, 의료비, 기부금 등 항목별로 선택하여 절세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