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청년들의 자립을 돕고자 5년 만기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시 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적용해 주는 국가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
아래에서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 지원내용, 신청기간, 신청방법, 은행별 금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의 지원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4가지 조건 모두 충족)
- 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병역복무기간은 빼고 계산됩니다. (최대 6년)
- 총 급여액 7,500만 원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도 가입가능,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됨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됨
<중위소득 250% 금액>

➡️ 주민등록표 등본상 가구원에 속하는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 소득의 합
지원내용

- 가입기간: 60개월
- 납입금액: 매월 1천 원 ~ 70만 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 은행 금리: 은행별 상이 (3년 고정, 2년 변동)
아래 은행연합회 포털에서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금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현재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의 기본금리가 4.5%입니다. 소득 (저소득), 이체, 이용실적 등에 따라 우대금리가 1%까지 추가 제공됩니다. 실시간 금리와 자세한 정보는 은행연합회 포털을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정부기여금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소득구간별로 정부기여금을 지원합니다.
개인소득 기준 구간 (2,400만 원 이하, 3,600만 원 이하, 4,800만 원 이하, 6,000만 원 이하, 7,500만 원 이하) 별로 정부기여금이 차등지급됩니다.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매칭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정부기여금은 월 납입액의 6%입니다. 하지만 지급한도가 있어 최대 40만 원의 납입액까지 지원되며 40만 원 x 6% = 24000원까지 월 정부기여금이 지원됩니다.
👆 단, 2025년 1월 납입분부터는 월 최대 지원금액이 3만 3천 원으로 인상됩니다.
👆 3년간 유지 후 해지하더라도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이와 같이 은행 우대금리 + 정부기여금 + 이자에 대한 무과세를 통해 청장년층이 목돈을 마련하는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콜센터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 관련된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노하우를 얻을 수 있는 채팅방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콜센터 및 채팅방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신청기간
매월단위로 신청기간이 정해집니다.
2025년 1월의 경우 1월 2일부터 10일까지 (영업일만 운영됨) 신청가능합니다.
기존에 가입신청을 했으나 계좌개설을 못한 경우에도 이 기간에 재신청이 가능합니다.
심사기간
약 2주간의 심사를 통해 가입가능하다고 확인된 청년은 계좌개설기간에 맞춰 은행앱을 통해 계좌를 개설하면 됩니다.
계좌개설기간
- 1인가구 청년: 1월 16일 ~ 2월 7일
- 2인 이상 가구 청년: 1월 27일 ~ 2월 7일

➡️ 매월 지정되는 신청기간, 계좌개설 가능기간 및 해지, 일시납부 등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 목돈마련의 중요성
청년 시절에 목돈을 마련하는 것은 미래 준비, 금융적 독립, 긴급 상황 대비, 자산 증식 등 다양한 면에서 중요합니다. 경제적 여유를 갖추면 주택 구입, 결혼, 자녀 교육 등 장기적인 목표를 실현할 수 있고, 갑작스러운 경제적 어려움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목돈을 잘 운용하면 자산을 증식시킬 수 있으며, 경제적 자유와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 주어, 은퇴 후 안정적인 삶을 준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결국, 목돈 마련은 청년들이 재정적 자유를 누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국가에서 지원하는 사업을 적극 이용하여 목돈마련의 기회로 만드시길 추천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