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봉급 권고기준과 수당기준 등이 변경되었습니다. 아래에서 이 가이드라인에 따른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호봉표, 승진기준, 수당기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파일은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호봉표

     

     

    직종, 직위 (원장, 관장, 사무국장, 부장, 과장, 생활복지사, 선임 생활지도원, 선임사회복지사, 생활지도원, 사회복지사, 관리직, 기능직) 별 호봉표 (1호봉 ~ 33호봉)를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사회복지직, 일반직 (별표 1)

    • 관리직: 생활시설의 관리인, 경비원 등
    • 기능직: 조리원, 위생원 등
    • 사회복지직: 사회복지사 1, 2급 및 각 해당 법령에 따라 관장, 부장, 과장으로 자격이 인정된 자
    • 사회복지직과 일반직 이외의 직종은 아래 개별 호봉표를 적용합니다.

    사회복지직, 일반직 호봉표

     

    ✅ 의료직 (별표 2)

    • 의료직: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특수교사, 임상심리사, 영양사 등
    • 최초 부여되는 직급: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특수교사, 임상심리사, 영양사/3급, 간호조무사/4급

    의료직 호봉표
    의료직 호봉표

     

    사무직 (별표 3)

    • 사무직: 서무, 경리, 전산담당자

    사무직 호봉표
    사무직 호봉표

     

    관리직 (별표 4)

    • 관리직: 노무, 운전기사, 조리사, 취사원, 고용직 (청소, 취사, 세탁 담당자)

    관리직 호봉표
    관리직 호봉표

     

    기타 직종 (별표 5)

    • 조리사, 취사원 (관리직 보다 더 나은 기준으로 운용하는 경우), 기능교사, 사서, 보육교사

    기타 직종 호봉표
    기타 직종 호봉표

     

    승진 기준

     

    다음 상위 직급으로 승진하는데 필요한 최소 소요 연한(경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회복지직

    • 사회복지사로서 만 3년 이상 ➡️ 선임사회복지사
    • 선임사회복지사로서 만 5년 이상 ➡️ 과장
    • 과장으로서 만 7년 이상 ➡️ 부장/사무국장

     

    ✅ 사회복지 외 직종

    • 4급으로서 만 3년 이상 ➡️ 3급
    • 3급으로서 만 5년 이상 ➡️ 2급
    • 2급으로서 만 7년 이상 ➡️ 1급

     

    수당기준

     

     

    명절휴가비

    • 지급대상자: 재직 중인 종사자 (육아휴직 또는 병가휴직 등의 장기휴직 중인 자는 제외)
    • 지급액: 봉급의 120%
    • 지급일: 봉급의 60%씩 설과 추석이 있는 달의 월급일에 지급

     

    ✅ 가족수당

    • 지급대상자:  부양가족이 있는 종사자
    • 지급액: 배우자 월 4만 원, 배우자 자녀 제외 가족 (직계 존, 비속) 1명당 2만 원, 자녀 첫째 3만 원, 둘째 7만 원, 셋째 이후 자녀 월 11만 원
    • 지급일: 매월 월급일

     

    시간 외 근무 수당

    • 지급대상자: 규정된 정규 근무시간 외 연장근로를 한 종사자
    • 지급액: 연장근로 시간당 (통상임금 (월급) x 1/209 x 1.5)
    • 지급일: 연장근로를 한 다음 달 월급일 (12월은 당월 지급)

    통상임금이란 기본금에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수당을 더한 평상시 받는 임금을 뜻합니다.

     

    마치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취약계층을 지원하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무 환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적절한 임금 인상은 종사자들의 경제적 안정과 직업 만족도를 높이고, 인력 유입을 촉진하며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또한, 사회복지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인정하는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정책적 지원 확대와 함께 사회적 연대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결국,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처우 개선과 인식 제고는 복지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며, 모두가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