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최저임금은 서민들의 소득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내수 경제 전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아래에서 2025년 최저임금 인상률, 주휴수당 계산방법 및 계산기, 실수령액 계산방법 및 계산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 최저임금 인상률

     

     

    2025년에 최저시급은 2024년 9,860원 대비 1.7% (170원) 인상된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최저시급이 처음으로 1만원을 넘게 되었으며, 이는 1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체에 적용됩니다.

     

     

    고용노동부 - 최저임금 모의계산기

     

    www.moel.go.kr

     

     

    최저임금은 그동안 매년 5-6% 정도 인상되어 왔고 2018년에 16.4%로 크게 한번 인상되었습니다. 작년에도 2.5% 정도의 다소 낮은 인상률이 적용되었으나 올해는 그보다 낮은 1.7%로 근로자 입장에서는 다소 아쉬운 인상률로 결정되었습니다.

     

    근로자 입장에서 높은 물가도 반영해야겠지만 현재 소상공업계의 어려움을 반영한 결과라 볼 수 있겠습니다.

     

    ➡️ 아래에서 연도별 최저시급 인상률, 인상액, 최저임금 (시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도별 최저시급 인상률, 인상액, 최저임금 (시급)
    연도별 최저시급 인상률, 인상액, 최저임금 (시급)

     

    주휴수당 계산방법/계산기

     

     

    최저시급을 월급으로 계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휴수당을 계산하여 더해야 합니다.

     

    ✅ 주휴수당은 월평균 주 15시간 근무 시 1일 근무시간 x 시급을 추가지급하도록 법에서 정한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주 40시간 (1일 8시간, 5일)을 근무하게 되면 8시간 x 10,030원 = 80,240원을 시급 외에 추가로 받게 됩니다.

     

    또한, 주 20시간 (1일 4시간, 5일)을 근무한 경우, 4시간 x 10,030원 = 40,120원을 시급 외에 추가로 받게 됩니다.

     

    ➡️ 아래 주휴수당 계산기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주휴수당을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기

     

    실수령액 계산방법/계산기

     

    최저시급 (10,030원)을 일한 시간으로 계산하고 주휴수당을 더한 후 세금 등을 뗀 금액이 실수령액 (월급)입니다.

     

    공제 금액

    공제 금액
    공제 금액

     

    최저임금 실수령액은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월 209시간 (8시간 x 21일) 근무 => 209 x 10,030원 = 2,096,270원 - 공제금액
    • 하루 8시간, 주 5일의 월 근로시간은 주휴시간 35시간 (주 8시간씩, 한 달 4.5주로 계산)을 더하여 209시간으로 계산됩니다.

     

    ➡️ 세금을 제한 월급실수령액을 아래 계산기를 통해 쉽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월급 부분에 2,096,270원을 입력하고 비과세액 (보통 식대, 한 달 최대 20만 원)을 입력하면 됩니다.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이를 통해 계산한 최저임금 실수령액 (월급)은 1,899,300원으로 계산됩니다. 실수령 월급으로서는 2024년 대비 31,510원 인상된 셈입니다.

     

    최저임금 인상의 중요성

     

    최저임금 인상은 저소득층의 생활 향상, 경제 성장 촉진, 사회적 불평등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임금이 인상되면 저소득층의 소비 여력이 증가하여 내수 경제가 활성화되고, 노동자들의 만족도와 생산성도 높아집니다. 또한, 노동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고,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사회적 안정성을 높이며 불평등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비록 단기적인 인플레이션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2025 최저임금 시급 월급 인상률
    2025 최저임금 시급 월급 인상률